
2020. 08. 01. 토요일 연일 계속되는 비에 온 나라가 물난리다. 토요산행 팀도 장마 기간동안 산행을 잠깐 쉬어간다. 오전 10시 지나 빗줄기가 조금 잦아들어 동네 뒷산인 수락산에 다녀왔다. 고산동에서 시작한다. 싸리나무 원추리 도정봉 방향으로 오른다. 애기며느리밥풀 막 피기 시작한다. 애기며느리밥풀 담다가 스틱을 두고와 다시 가서 찾아온다. 다시 비가 내리기 시작하지만 그 양이 많지 않아 산행을 계속한다. 애기며느리밥풀 도정봉과 주변 풍경 도정봉 주변에도 애기며느리밥풀이 많다. 애기낙엽버섯? 우산에 스틱에 카메라까지.... 밧줄 잡을 손이 모자라서 기차바위는 우회한다. 수락산 정상 수락폭포 방향으로 하산한다. 바위채송화 돌양지꽃 늦었지만 올해도 병아리난초 안부를 확인한다. 원추리 노랑망태버섯 계..

2020. 07. 28. 화요일 오후에 병원 갈 일이 있어 휴가를 냈다. 병원 예약까지 자투리 시간을 이용 수목원에 다녀왔다. 장마 중이라 날씨가 흐려 한낮임에도 수목원이 어둡다. 물레나물 약용식물원에서 시작한다. 쉽싸리 대극 구릿대 개곽향 박쥐나물 물싸리 애기탑꽃 층층이꽃 털부처꽃 솔나물 쥐손이풀 해변싸리 정선황기 복분자 냉초 박하 개박하 딱지꽃 개맨드라미 대반하 톱풀 왜솜다리 가거양지꽃 나도하수오 호장근 참골무꽃 단삼 수염가래 배초향 바늘엉겅퀴 긴담배풀 개맥문동 작살나무 일본매자나무 흰말채나무 등대시호 삼백초 왕과 속단 희귀 특산식물 보존원으로 이동한다. 민백미꽃 참여로 광릉요강꽃 복주머니란 대청부채 참배암차즈기 큰구와꼬리풀 땅나리 노랑어리연 가는대나물 다북떡쑥 좁은잎해란초 금꿩의다리 석잠풀 옹굿나물..

2020. 07. 26. 일요일 얼마 전 꽃동무들이랑 담양 어리병풍 꽃소풍을 다녀왔다. 우리 동네에는 어리병풍과 비슷한 병풍쌈이 있어 2년 전 봄에 확인했었다. 혹시나 병풍쌈 꽃을 기대하며 산행 겸 꽃소풍에 나선다. 장암저수지 방향에서 시작한다. 2코스로 오른다. 국망봉대피소를 지난다. 돌양지꽃 말나리 여로 물레나물 정상 바로 아래가 늘 그렇듯 경사가 가파르다. 금강초롱 산수국 국망봉 정상과 주변 풍경 명성산 방향 광덕산 방향 화악산 방향 명지산 방향 개이빨산 방향 이동 풍경 도봉. 북한산 방향 금학. 고대. 지장산 방향 백작약 2018. 05. 13. 꽃며느리밥풀 솔나리 살모사 돌양지꽃 종덩굴 박새 말나리 병풍쌈을 찾아 막산행을 펼친다. 병풍쌈 꽃핀 개체는 못 봤다. 2018. 05. 13. 산수국 산..

2020. 07. 25. 토요일 솔나리 계절이다. 동네 산 중에는 명지산과 국망봉에 솔나리가 핀다. 작은 이소장님에게 솔나리 보고픈 마음을 얘기하자 "셋이 가는 산행에서 둘이 우기면 되지 않겠어?" 긍정적 답변을 준다. 쩝, 둘이 우겨도 될 일이 아니다. 김소장님 저녁에 약속이 있어 4시 반까지는 돌아와야 한단다. 명지산행을 시간 내에 마치기 어려워 지장산으로 산행지를 조정한다. 중리저수지 방향에서 출발한다. 낭아초 싸리 참나리 왜모시풀? 지장계곡 풍경 큰도둑놈의갈고리 도둑놈의갈고리 누리장나무 홑왕원추리에서 그냥 원추리로 이름이 바뀌었다. 물양지꽃 활량나물 출발 전 류현진 야구 중계를 조금 봐서 그런가 토마토가 야구공이 됐다. 칫숲으로 오른다. 참여로 아직 개화 전이다. 2018. 08. 19. 쇠털이슬..

2020. 07. 19. 일요일 산행을 해도 될 만큼 빗발이 가늘어져 꽃소풍 장소를 이동한다. 지난번(7/5) 조금 이른 방문을 했던 운악산 병아리난초를 다시 찾는다. 운악광장 휴게소에서 출발한다. 비 덕분에 폭포 물줄기가 양동이를 벗어나고 항상 건천이던 계곡에도 물이 흐른다. 노랑망태버섯 쵸코 부분이 빗물에 씻겼다. 영지버섯 원추리 여로 무지치폭포 우산나물 어제 담양에서 만난 어리병풍과 꽃모양은 거의 비슷하다. 자주꿩의다리 노루오줌 고라니? 김포 문수산에서 본 고라니 사체와 비슷하다. 2019. 08. 10. 폭포 옆으로 오른다. 병아리난초 훼손되었던 이끼에 그새 새살이 돋는다. 2020. 07. 05. 바위채송화 옥잠난초 애기며느리밥풀 정상은 패스하고 운악사 방향으로 하산한다. 금주산과 화현 풍경 운..

2020. 07. 19. 일요일 감자 캐기로 한 날이다. (지난주 캐려다 감자알 조금 더 굵어지라고 일주일 늦췄다.) 아침부터 제법 많은 비가 내려 오늘도 감자 캐기가 어렵다. 지난주 그랬듯이 이번 주도 호미 대신 카메라 챙겨 빗길을 나선다. 공단풀 얼마 전 나비야님이 이곳 공단풀 다 사라졌다는 비보를 전해 주신다. 혹시나 하며 찾았더니 제초제 피해를 보긴 했지만 아직 여기저기 보인다. 백령풀 이렇게 굵은 비가 내림에도 이곳은 찾은 것은 꼭 보고자 했던 꽃이 있음이다. 이 동네 꽃동무가 이 꽃이 가급적 외부에 노출되지 않았으면 바람을 얘기 해 그 바람대로 사진은 건너뛴다. 쓰레기가 널려 있던 물고랑이 깨끗해졌다. 누군진 모르지만 하여간 고맙다. 낭아초 달맞이꽃 하늘타리 참외 수박 박주가리 비가 계속되기는..

2020. 07. 18. 토요일 2년 전 진선생님과 찾았던 큰백령풀이 어리병풍 자생지와 가까운 곳이라 들려간다. 큰백령풀 2년 전보다 3주 정도 빠른 방문이라 꽃은 기대 안 했는데, 고맙게도 활짝 피었다. 하루 전까지 내린 비에 호숫물이 많이 불었다. 하필 쓰레기와 섞인 부유물이 큰백령풀 자생지로 밀려와 꽃보다 쓰레기 사진이 됐다. 2018. 08. 11. 그 속에도 꽃은 핀다. 꽃동무들 2년 전, 집터만 먼저 닦아 놓고 나중에 집을 짓겠다던 댁은 아직도 미완성이다. 2018. 08. 11. 호랑가시나무 참나리 점심을 한 식당 마당의 이팝나무 오후 일정으로 부안 노랑참나리를 찾는다. 순비기나무 원추리와 참나리 핀 해안을 따라 들어간다. 참나리와 노랑참나리 주변 풍경 계요등 이제 막 피는 중이다. 서양금혼..

2020. 07. 18. 토요일 지난주 계획했던 담양 어리병풍이 꽃피는 시기를 맞추고자 한 주 연기되었다. 먼길 가서 어리병풍 하나만 보고 오는 것으로는 욕심에 안 차, 가까운 주변을 돌아볼 욕심에 아침 5시에 의정부에서 출발한다. 흰배롱나무 가로수가 배롱나무인 곳을 지나다 쉬어갈 겸 차를 세웠다. 자귀나무 사상자 참깨 어리병풍이 자란다는 목적지에 도착했다. 금창초 뱀무 큰개불알풀 하늘말나리 절을 지나 계곡으로 들어간다. 덩굴곽향 개체는 많으나 아직 개화 전이다. 어리병풍이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꽃 핀 개체를 찾아 계곡을 좀 더 오른다. 어리병풍 옥잠난초 좀네잎갈퀴? 또 다른 어리병풍 꽃핀 개체를 찾아 계곡을 살핀다. 계곡 풍경 일월비비추가 거의 졌다. 나래완두 꽃동무들 등골나물 절을 돌아 나온다. 아..

2020. 07. 12. 일요일 텃밭 감자 캐는 날이다. 당연히 일요 꽃소풍은 하루 쉬기로 했다. 아침식사 중 아버지, "감자알이 이제 막 굵어지는데 며칠 더 있다 캘까?" - "그러시죠, 뭐~" 나비야님께 전화를 한다. "꽃장포 어떻세요." - "좋지~" 창질경이 동네 부용천에서 나비야님이 찾아냈다. 철원으로 출발 전, 먼저 들러간다. 모감주나무 올해 한탄강에서 캠핑하는 차량이 엄청 늘었다. 날씨가 흐려 달맞이꽃이 아직 꽃잎을 열었다. 개머루 초입의 꽃장포는 안 보이고 고란초만 여기저기다. 강 안쪽으로 이동한다. 손 가까운 꽃장포는 사리지고 먼 데만 남아 내 카메라로는 역부족이다. 나비야님 카메라를 빌려 몇 장 담는다. 바위 위 쪽 올라 또 몇 장 담는다. 검정말 싸리나무 한탄강 풍경 고석정 꽃밭 코로..

2020. 07. 11. 토요일 오늘은 토요산행을 빼먹고 꽃동무들이랑 어리병풍을 계획했었다. 한데, 어리병풍 개화가 이를 것 같다는 진선생님 판단을 따라 꽃소풍은 뒤로 미루고 산행식구들과 삼악산에 다녀왔다. 산행안내도 등선폭포 주차장 - 흥국사 - 용화봉 - 상원사 - 등선폭포 주차장 코스다. 등선폭포 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등선폭포 상가에 옛날 같은 활기가 없다. 이곳은 아직도 입장료가 있다. 등선폭포 협곡을 지난다. 넉줄고사리 계곡 마지막집 친구 기분이 별로인 것 같다. 2019. 03. 01. 2019. 01. 06. 말벌집 거미가 물 위로 거미줄을 쳤다. 어떻게 했을까 하고 해석을 하고 있다. 조금 가다가는, 또 멈췄다. 이번에는 버들치 구경이다. 그야말로 놀멘 놀멘이다. 쉬어가기 오늘 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