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09. 27. 일요일 1박 2일 경상도 꽃소풍을 마치고 어제 늦게 돌아 왔다. 평소보다 게으른 아침을 즐긴 후, 노느니 슬슬 수락산 산책에 나선다. 낭아초 향유 산지정화 초소에서 도정봉 능선으로 오른다. 미역취 능선길에는 애기며느리밥풀만 보인다. 구절초 이고들빼기 참싸리 산행 풍경 도정봉 아래서 점심을 한다. 도정봉과 주변 풍경 애기며느리밥풀 산행 풍경 기차바위를 지난다. 구절초 수락산 정상과 주변 풍경 수락산장을 지난다. 고수 이고들빼기 내원암으로 내려간다. 내원암 봉선화 사마귀 하산 풍경 하산길에도 애기며느리밥풀과 만난다. 물통이 동네산에 흔하게 보이는 고사리 종류다. 정확한 이름은 모르고 도감에서 비슷한 이름을 찾는다. 가는잎족제비고사리? 뱀고사리? 계곡에 내려섰다. 수락폭포 2020. ..

2020. 09. 26. 토요일 어제, 창원 비음산으로 청도 최정산으로 꽃소풍을 다니다 저녁 늦게서야 청송 허리뫼님댁에 도착했다. 허리뫼님이 직접 키우고 수확한 먹거리로 차린 저녁 잘 먹고, 오랜만에 서로간의 안부도 나눴다. 예전에도 신세진적 있는 황토방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이틀째 일정을 진행한다. 마당 꽃밭 홍매님 들어온 고양이라는데 한쪽 눈이 파란 '오드아이'다. 오전 일정은 팔각산 둥근잎꿩의비름이다. 가는 길 중간, 진선생님이 알고 있는 둥근잎꿩의비름 꽃밭에 들려간다. 바위손 이곳 둥근잎꿩의비름은 아직 개화 전이다. 본래 찾고자 했던 목적지에 도착했다. 둥근잎미국나팔꽃 입구 솔밭 사이에 꽃무릇을 심었다. 출렁다리를 건넌다. 다리 건너 묵밭 일부도 꽃밭을 만들었다. 포천구절초 투구꽃 둥근잎꿩의비름 꽃..

2020. 09. 25. 금요일 오후 일정은 청도 최정산이고 찾아보고자 하는 식물은 참줄바꽃이다. 이전에 정확한 이름을 몰라 짙은 자주색 투구꽃이라 부르며 카메라에 담은 적이 있다. 아직도 참줄바꽃이 정확한 명칭인지는 자신 없지만 그래도 이름을 새로 배웠으니 다시 찾는다. 수년 전 이곳으로 '야생화 이야기반'을 부른 것은 가야물봉선이다. 벌노랑이 좁은잎배풍등 꽃동무들 개나리 숫잔대 작은 연못 바늘꽃 가야물봉선 꽃향유 산일엽초 도로확장 공사로 주변이 바뀌어 참줄바꽃을 찾지 못했다. 참줄바꽃? 2014. 09. 20. 갈퀴나물 누룩뱀 나도송이풀 청송 허리뫼님댁

2020. 09. 25. 금요일 꽃동무 몇 분과 1박 2일 꽃소풍에 나선다. 첫날 일정은 창원 비음산. 청도 최정산이고, 둘째 날은 영덕 팔각산. 청송 청량산이다. 창원 비음산부터 시작한다. 계곡 입구 마리아상 주변으로 작은 꽃밭이 꾸며졌다. 꽃무릇 유홍초 갈퀴망종화 등산로 길섶으로 보이는, 수까치깨 쥐꼬리망초 세잎쥐손이 우리 동네는 드문 묏미나리다. 은꿩의다리 오늘 탐사 주제 식물인 처진물봉선이 보인다. 비목나무 처진물봉선 물봉선 투구꽃 흰진범 나비나물 계곡 풍경 처진물봉선 해변싸리 새콩 은꿩의다리 고마리 며느리밑씻개 하산 풍경 물봉선 첫째 날 오전 꽃소풍 끝

2020. 09. 20. 일요일 일요일 아침 류현진 야구중계가 잡혔다. 류현진이 소속된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필라델피아 필리스 간의 경기다. 아침 7시에 시작한 경기는 블루제이스가 1대 2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류현진이 6회까지만 던지고 마운드에서 내려온다. 야구중계는 여기까지만 보고 꽃소풍 채비를 한다. 나비야님에게 전화드려 함께 광덕산 금강초롱을 찾는다. 교장선생님과 진선생님이 이미 두 주 전 다녀올 정도로 시기가 늦었지만 마땅히 갈 곳도 없고 해 그냥 출발한다. 금강초롱 투구꽃 계곡 입구에 낯익은 차가 보인다. 언제 보아도 반가운 연천 꽃동무들이다. 꼬리풀 종류 미꾸리낚시 나도송이풀 장대여뀌 금강초롱 병풍쌈 금강초롱 바위떡풀 회나무 촛대승마 금강초롱 고려엉겅퀴 뚱단지 산물봉선? 금강초롱 당분취 투구꽃..

2020. 09. 19. 토요일 몇 주 동안 주말에 출근라느랴 산행에 빠졌던 이소장님 오늘은 함께한다. 직장 다니고, 산행하고, 교회에 나가는 다람쥐 쳇바퀴 같은 일상이 새삼 소중하다고 전한다. 오랜만에 보는 모습이다. 반가운 나도송이풀이 여기저기 보인다. 개울물에 오늘 간식을 씻는다. 용화저수지에서 약사령을 오르며 가을꽃과 만난다. 미국쑥부쟁이 개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쇠서나물 꼬리풀 조밥나물 이고들빼기 가시여뀌 산여뀌 개미취 길섶의 꽃들과 만나느라 고갯마루에서 이소장님과 합류한다. 광덕산 방향 자주쓴풀 느치계곡 갈림길 쉼터에 새로운 평상이 놓였다. 약사령능선을 지난다. 장구채 층층잔대 자주쓴풀 쑥방망이 삼각봉 쉼터 조금만 더 진행하면 정상이다. ?? 매미 명성산 정상과 주변 풍경 점심 하산 풍경 단풍취..

2020. 09. 13. 일요일 마땅히 갈만한 곳이 없다. 지난 기록을 보니 9월 중순에 등에풀과 진땅고추풀이 한창이다. 지난번 방문 시 등에풀과 진땅고추풀이 기대에 못 미친 것을 핑계로 다시 한번 습지를 찾는다. 습지 풍경 등에풀부터 찾는다. 개체는 많으나 꽃핀 아이가 드물어 지난번과 별반 다르지 않은 사진을 얻는다. 참통발 물질경이 불암초 이미 열매를 맺었다. 수박풀 벌등골나물 덩굴별꽃 고마리 나비야님이 부른다. 등에풀 잘 생긴 아이가 있다 알려 주신다. 이미 봤던 아이지만 꽃동무 성의에 재차 담는다. 미국좀부처꽃 지난번 삼척 덕항산에서 분홍색 참작약 자생지를 알려주었던 야클 윤선생님을 만났다. 오늘은 검정말 위치를 알려주신다. 물장군 마디꽃 물마디꽃 진땅고추풀 백령풀 갯실새삼 드물다 하니 볼 때마다..

2020. 09. 12. 토요일 진선생님이 지나는 말로 "가까운 곳에 좁은잎배풍등 아는 데 있어?" 얼른 떠오른 장소가 연천 원심원사지만 절에서 등산로 막고는 가보질 않아 요즘은 어떤지 모르는 상황이다. 좁은잎배풍등 궁금증도 해소할 겸 수년만에 연천 쪽 지장산에 오른다. 연천 쪽에선 보개산이라 부른다. 이런 철문을 세 개나 넘어 등산로에 들어선다. 좁은잎배풍등 배풍등 전에 상사화 보러 왔던 암자터로 오른다. 암자터에도 좁은잎배풍등이 보이나 아직 꽃봉오리가 안 보인다. 신감채 좀담배풀 이곳 투구꽃은 막 피는 중이다. 눈빛승마 방귀버섯 조금 일찍 핀 투구꽃이 보인다. 큰갓버섯 영지버섯 싸리버섯 삽주 참취 단풍취 꽃며느리밥풀 암자터에서 등산로를 벗어나 한참 만에야 등산로에 합류한다. 어쩐 일인지 비 오는 날 ..

2020. 09. 06. 벌초 날이다. 코로나 시대라 그런가 집안 형제들이 제각기 편한 날 다녀가 비대면 벌초(?)가 행해졌다. 그래 정작 벌초 날엔 아버지와 단둘이 산에 올랐다. 이미 벌초가 끝났으니 안 가도 되나, 아버지가 묘지 주변에 정자목을 심고 싶다 하셔 느티나무 묘목을 챙겨 산소를 찾는다. 이미 벌초 마친 가족묘 아버지가 묘지 한쪽 빈터에 나무를 심는다. 텃밭 주변 풀 깎기까지 마치고 나니 오전 10시다. 나비야님에게 전화 해 남한산성 꽃소풍에 나선다. 애기물꽈리아재비 이곳을 먼저 다녀오신 진선생님이 애기물꽈리아재비가 안 보인다 해서 걱정했으나 다행히 꽃 핀 아이들이 보인다. 마 성 밖을 따라 걷는다. 병아리풀 꽃소풍 풍경 네잎갈퀴? 고추나물 좀깨잎나무 기린초 이걸 보고 큰꿩의비름이 이미 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