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NqIq/btriaVaGQQm/3Rytyt7tM7uKS1D1kNsIAk/img.jpg)
2021. 10. 04. 월요일 개천절이 휴일과 겹쳤다고 대체휴일이 주어졌다. 일기예보에 비 소식이 있긴 하지만 카메라 챙겨 한탄강 강부추를 찾는다. 승일공원 전에 교장선생님이 이 근처 강부추가 좋다 해 먼저 들린다. 교장선생님이 얘기한 곳은 승일교에서 상류 방향인데 접근이 어렵다. 내려설 수 있는 하류 방향 강가로 진행한다. 강부추 이고들빼기 포천구절초 강 풍경 큰오색딱다구리 산국 창틀을 치워주고 왔어야 했는데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지 못했다. 제비꽃 산딸나무 직탕폭포로 이동한다. 수해로 꽃이 줄긴 했어도 직탕폭포 배경의 포천구절초와 강부추 그림은 충분하다. 포천구절초 강부추 화단의 참골무꽃을 담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mu2b/btrh93S34qr/6hnsdfHtOtobWuappMy04k/img.jpg)
2021. 10. 03. 일요일 애초 꽃소풍 장소는 합천 황매산이었다. 이동 중, 얘기 중간 둥근잎꿩의비름이 등장하고, '그것도 괜찮은데....' 살짝 갈등이 생긴다. 뭐, 황매산에 꼭 봐야 할 주제 식물이 있는 것도 아니고.... 마음이 가는 대로 꽃소풍 장소를 변경한다. 비음산 처진물봉선 부터 찾는다. 장대여뀌 비목나무 처진물봉선 계곡 위로 처진물봉선이 계속되지만 둥근잎꿩의비름까지 가는 거리가 있어 조금 일찍 돌아선다. 물봉선 은꿩의다리 투구꽃 비음산 처진물봉선 꽃소풍 끝 둥근잎꿩의비름 자생지 정보 부자(?) 꽃동무가 권하는 장소 먼저 들린다. 열심히 담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물끼가 있어 미끄러운 곳을 등산화 벗고 맨 양말로 지난다. 진짜 덜 미끄럽다는데, 따라 하고픈 생각은 없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SlUcc/btrh2iDoj6g/4OKKEKLQrbq3pV2wshf2z0/img.jpg)
2021. 10. 02. 토요일 이번 주 토요 산행지는 철원 복주산이다. 휴양림에서 시작한다. 꽃향유 휴양림을 지난다. 바위떡풀 용탕폭포 지나 본격적인 산행 시작이다. 투구꽃 계곡을 따라 오른다. 산일엽초 꽃향유 향유 여우오줌 투구꽃 천남성 쉬어가기 회잎나무 계곡 끝나고 사면을 오르면, 수피령에서 복주산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 능선길과 만난다. 이젠 투구꽃도 거의 열매가 맺혔다. 살짝 단풍이 시작된 능선길을 걷는다. 회잎나무 괴불나무 꽃이 져서 그런가 놋젓가락나물이 보이질 않는다. 마지막 헬기장 지나 정상으로 진행한다. 대성산. 복계산 방향 화악산 방향 복주산 정상 점심 하산 산부추 투구꽃 할미밀망 노루삼 꿩의다리아재비 두릅나무 미국쑥부쟁이 타이어 계단 내려서면, 하오현이다. 산국 큰엉겅퀴가 아직도 보인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ylCW/btrhMRTHbdV/mMmvwYCe8cfIlY3YMtkqw1/img.jpg)
2021. 09. 26. 일요일 지난번 의정부 300팀이랑 다녀왔던 물매화 꽃소풍을 이번엔 연천팀이랑 같이한다. 물매화 계곡 입구에 개버무리가 보여 차를 세우니 동네 친구가 환영(?) 한다. 개버무리 자주쓴풀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물가를 따라 물매화를 찾는다. 좀개미취 투구꽃 가끔 붉은색 꽃밥의 물매화도 보인다 도롱뇽 구절초 한 사람 일찍 자리를 뜨고, 한사람 남고, 매양 같은 풍경이다. 큰땅빈대 돌아 나가는 길, 개버무리를 찾는다. 며칠 새 거의 열매로 변했다. 2021. 09. 22. 물매화 꽃소풍을 마치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w7ig/btrhJsFkLCi/Mcl5ou5crCPwvZe5udQny1/img.jpg)
2021. 09. 25. 토요일 시기가 좀 늦긴 했지만 성주풀과 긴두잎갈퀴 이삭줍기 하러 천사섬을 찾는다. 진선생님이 전에 물 빠진 저수지 바닥에서 보았다는 긴두잎갈퀴는 저수지에 물이 가득하다. 큰개수염? 굴피나무 땅귀개 이삭귀개 께묵 첨엔 뭘까 했었다. 잠자리난초 모습이 남아있다. 도라지 개미탑 수년 전, '야생화 이야기반'에서 이곳을 찾았었다. 그때 지도선생님이 성주풀은 엠바고 처리해 블로그에 올리질 못했었다. 오늘 못 본 성주풀을 그때 사진으로 대신한다. 2016. 09. 04. 성주풀에 미련이 남아 분재공원 안 습지로 이동한다. 울산도깨비바늘 천사섬 친구들 풀솜나물 께묵 이삭귀개 땅귀개 참통발 나래송이고랭이 벗풀 애기범부채 근무자 얘기로는 올해 성주풀을 봤다 하는데 꽃이 져서 그런지 못 찾았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Yc87/btrhFhLVhkw/x4PNfo7IMuEpW5dpVK9Nbk/img.jpg)
2021. 09. 25. 토요일 항상 300팀 꽃소풍 일정을 계획하는 진선생님이 민탐라풀과 영암풀을 봤으면 하신다. 토요산행 식구에게 양해 구하고 남도 꽃소풍에 나선다. 민탐라풀 긴두잎갈퀴 여전히 꽃잎을 닫았다. 두 번째 주제 식물 성주풀과 영암풀을 찾는다. 성주풀 당잔대? 영암풀 지난번처럼 일단 잎부터 담고 꽃은 혹시나 하며 이삭 줍기에 나선다. 큰벼룩아재비 괭이싸리 영암풀 거의 열매 상태이나 꽃 핀 아이들이 몇 보인다. 청미래덩굴 께묵 콩배 층꽃나무 백운풀은 지난번 방문 때도 이미 훼손됐다고 해, 성주풀과 긴두잎갈퀴가 있다는 천사섬으로 이동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GXXzk/btrhvPIZn3A/pTKdp26gnZSC40LAMC9KCK/img.jpg)
2021. 09. 22. 수요일 오전 내 물매화와 놀고도 정선에서 가깝다는 이유로 대덕사 물매화 꽃밭을 마저 들려간다. 큰등갈퀴 2015. 09. 13. 물매화 왜솜다리 자주쓴풀 가재 도마뱀 병아리풀 솔체꽃 사창분취 곰취 백부자 북분취 개미취 자주쓴풀 물매화 놋젓가락나물 자생지로 이동한다. 길을 잘 못 들어간 곳에서도 길옆으로 놋젓가락나물이 보인다. 진선생님이 알려준 장소에 도착했다. 놋젓가락나물 노랑투구꽃 산외 괴불나무 선괴불주머니 묏미나리 노박덩굴 마지막 주제식물 나도송이풀 흰색을 찾아 영월로 이동한다. 병아리풀 자주개황기 백부자 자주쓴풀 물매화 꽃소풍 끝 시간이 늦어 나도송이풀 흰색은 포기다. 오늘 같이하진 못 했지만 일정을 짜주신 진선생님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