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i0IV/btrjAezhsoa/0BfKbQc6LrrEjXJImbkc6K/img.jpg)
2021. 10. 31. 일요일 첫 번째 방문지는 함안이다. 꽃향유와 흰꽃향유가 함께 핀다 해서 찾았다. 꽃향유 미국자리공 구절초 개쑥부쟁이 산국 주홍서나물 울산도깨비바늘 배풍등 까마중 미국까마중 용담 산국 쥐꼬리망초 흰꽃향유는 못 찾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두 번째 주제 식물은 진주의 진주바위솔이다. 아직 개화 전이라는 소릴 듣긴 했지만 장소 확인 차 들린다. 산국 둥근잎유홍초 장소가 좁아 순서를 기다려야 한다. 나도송이풀 진주바위솔 진주바위솔 메인 모델이다. 이렇게 저렇게 담아도 다 이쁘다. 괜히 주변을 둘러보다, 한 번 더 담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마지막 주제 식물은 고성 비진도콩이다. 비진도콩 투구꽃 꽃향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G6NR/btrjvrE5osV/PIkLLpTUFjI0le4h4PJEG0/img.jpg)
2021. 10. 30. 토요일 산행 식구가 결혼식 행사가 있어 산행 불참을 알린다. 막바지 동네 꽃밭 중 포천바위솔만 아직이다. 산행 대신 올해 마지막 동네 꽃소풍에 나선다. 지난번 강부추 꽃소풍(10/4)시 덜 피었던 좀바위솔 먼저 찾는다. 송대소 펜션 쪽 전망대에서 보이는 송대소 풍경. 펜션 사장님이 이쪽에서 강으로 내려가는 길은 폐쇄되었으니 은하수교를 이용하라 안내한다. 덕분에 은하수교를 처음 건너 본다. 은하수교 건너 강으로 내려 서려니 이번에는 둘레길 관리원 분이 일방통행 길이라며 내려가는 길을 막는다. 관리원 안내대로 송대소 부교를 이용한다. 어렵게 찾은 좀바위솔은 이미 지고 달랑 하나가 남았다. 강부추 풀무치 청개구리 다시 은하수교 건너 좀바위솔 꽃소풍을 마친다. 두 번째는 포천바위솔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gXAe/btriYoBKi44/tMCJH557DQz86S0tKWfOR1/img.jpg)
2021. 10. 23. 토요일 산행 식구들과 지리산 둘레길 3코스 중 매동마을 - 금계 구간을 걸었다. 원래 3코스는 인월 - 금계이나 내가 기껏 예약한 민박집이 3코스 중간의 매동마을 공할머니댁이라 인월은 빼먹고, 그냥 중간부터 진행한다. 매동마을 민박집 아침 풍경 짐 정리부터 하고, 민박집 사장님에게 안내받은 식당으로 걸어서 이동한다. 08시 아침 시간에 맞추려 일부러 걸었음에도 아직 식당이 열리기 전이다. 매동마을에서 출발 동네를 벗어나 숲길에 든다. 중황마을을 지난다. 주걱개망초 초피나무 상황마을 노박덩굴 등구재를 지난다. 쉬어가기 등구재 넘어, 창원마을 지날 때는 지리산 천왕봉이 정면으로 보인다. 집집마다 감나무다. 당산나무 아래 쉬어간다. 초피나무 걷기가 살짝 지루해질 무렵, 이쁜 카페가 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BJd5/btriUDS2eh1/zI8pYKvQVUrweQUrWd4bKK/img.jpg)
2021. 10. 16. 토요일 이미 꽃이 귀한 계절로 접어들었다. 그나마 동네 가까이서 산행과 꽃소풍을 함께 할 수 있는 명성산에 다녀왔다. 용화마을에서 출발한다. 약사령으로 오른다. 고갯마루에 쉬었다가, 잠시 오르면, 약사능선이다. 용담 개쑥부쟁이 자주쓴풀 쉬어가기 약사능선길 용담 자주쓴풀 선밀나물 주능선길과 만난다. 화악산. 국망봉 방향 궁예봉 방향 삼각봉 방향 운천 방향 명성산 정상과 주변 풍경 하산 점심 하산 풍경 금학산 방향 용화마을 하산 풍경 느치계곡 쉼터 작살나무 영아자 두 번째 쉼터 용화마을 도착 흰둥이 집이 비었다. 2019. 05. 19. 2018. 09. 29. 산행 끝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2QV1/btriCEs8RfW/tdlBx9LB1Y2f1WJuJq6bkK/img.jpg)
2021. 10. 11. 월요일 오후 일정은 삼척 정선바위솔이다. 흐리기만 한다는 예보와는 달리 얌전한 비가 계속된다. 개울물이 많아 등산화 벗고 건넌다. 꽃향유 정선바위솔 장화 준비한 진선생님만 유유자적이다. 구절초 자주쓴풀 삼척 정선바위솔 꽃밭에서 인사를 나눈 동호인분이 올해는 이곳보다 어드메쯤이 더 낫다고 정보를 준다. 길눈 밝은 진선생님, 말로만 설명 들은 장소를 네비도 켜지 않고 찾아간다. 정선비위솔 여러 가지 이유로 꽃정보가 폐쇄적이다. 그럼에도 선뜻 호의를 베푼 동호인분, "고맙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RaZ5E/btriukHnjUG/2GgGk40KbkmIZ5JBNXd19K/img.jpg)
2021. 10. 11. 월요일 또 대체 휴일이다. 의정부 300팀이 해국과 정선바위솔을 보려 꽃소풍에 나선다. 잠시 쉬어가는 고속도로 휴게소에 풍선덩굴과 유홍초가 피었다. 삼척 추암을 찾았다. 추암 개울 오리. 몇 해 전 물고기 2016. 10. 09. 구기자나무 댕댕이덩굴 해국 참으아리 해국과 주변 풍경 백사장으로 내려선다. 해변을 따라가며 해국을 담는다. 둥근바위솔 구기자나무 참으아리 꽃동무들 주변 풍경 해국 얼추 해국 꽃소풍을 마칠 무렵 비가 시작된다. 오전 꽃소풍을 마치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