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wCSn/btq8lTGcekn/DI04CnH3sx6FYspBDP3sLK/img.jpg)
2021. 06. 27. 일요일 광덕산 구실바위취 보러 가다 만난 꽃들이라 한꺼번에 정리해도 되나 국어 잘하는 꽃동무가, '중나리 같은 털중나리, 하늘나리 같은 하늘말나리' 제목을 붙여 따로 정리한다. 연영초 계곡 다 가서 주택 축대에 1m쯤 되는 키 큰 나리가 보여 중나리려니 하고 내려올 때 보기로 한다. 구실바위취 꽃소풍을 마치고 올라올 때 보았던 중나리(?)를 찾는다. 애기원추리? 일본조팝나무 광덕고개 올라올 때 보았던 중나리(?)도 찾는다. 이곳에서 가까운 데서 담았던 중나리 2015. 07. 26. 중나리라 했던 아이들이 실장님 눈에 이상했는지 이동 중인 차량 안에서 인터넷 자료를 검색해 본다. "중나리는 갈색 반점이 꽃잎 가장자리까지 있는데..." 암만 300팀끼리 몰려다녀도 3 인행이면 스승..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fbFhY/btq8ntmSNGY/ONVKe1s145TFjx6ss20TEK/img.jpg)
2021. 06. 27. 일요일 일단 ㅇㅇ산 습지 꽃소풍을 진행하고 오후 일정 계획한다. 명지산 옥잠난초를 볼까? 일산 왕별꽃을 볼까? 하다 최종 선택은 광덕산 구실바위취로 정한다. 흰숙은노루오줌 구실바위취 2021. 05. 05. 박새 구실바위취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더니, 성냥 머리 같은 꽃술을 찾아다닌다. 보고자 했던 구실바위취가 어찌나 많은지 연영초 계곡이 채 끝나기 전에 돌아선다. 하늘말나리 개회나무 고광나무 구실바위취 다음으로 많은 것이 참반디다. 옆에 꽃동무가 세로로 담길래 슬쩍 따라 한다. 산짚신나물 내려오는 길에도 눈 앞의 구실바위취를 지나치지 못하고 또 멈춘다. 연영초 계곡 초입에서 만났던 흰숙은노루오줌과 다시 만나면 구실바위취 꽃소풍은 끝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Q7tp/btq8jKvKrAS/wCJ3kE4JYCV0ykK0Qsl2kK/img.jpg)
2021. 06. 27. 일요일 연천팀을 이끄는 옥이님이 요새 가끔씩 자리를 비운다. 이날도 소백산 어딘가로 산행을 떠나 또 나머지들끼리 꽃소풍을 진행한다. 첫 번째 꽃소풍 장소는 ㅇㅇ산 습지다. 큰하늘나리 기대했던 검종덩굴은 훼손됐다 해 덩굴박주가리로 이동한다. 타래난초 작살나무 콩배나무 누군가 해마다 지주대를 세워준다. 덕분으로 말끔한 덩굴박주가리 사진을 얻는다. 꼬리조팝나무 아직까지 칠보치마 복원지 방문을 못 해 봐 그리로 이동한다. 칠보치마는 이제 개화가 시작이다. 카메라에 담기에는 팻말이 너무 많다. (칠보치마가 주연공이 될 수 있는 연출이 필요해 보인다.) ㅇㅇ산 습지에서 물앵초가 사는 호수로 이동한다. 물앵초 자생지 위치를 정확히 몰라 제법 큰 호수가를 살피며 따라 돈다. 메꽃 민물가마우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7n6I/btq8fWwC41e/KlwPU0Y6ajhwEBlSYSGzM0/img.jpg)
2021. 06. 26. 토요일 큰아이 상견례로 빠진 김소장님 외 3명이 연천 고대산에 다녀왔다. 고대산자연휴양림 방향에서 시작한다. 나도민들레 2020. 06. 20. 2019. 06. 06. 제1 코스로 진행한다. 개살구나무 발치의 알록제비꽃 가시꽈리 덩굴곽향 골무꽃 종류 산꿩의다리 계곡의 털중나리는 아직 개화 전이다. 높은 습도에 땀이 많이나 자주 쉬어간다. 노루발 문바위쉼터를 지난다. 주라이등 방향 2020. 06. 20. 조록싸리 돌양지꽃 자주꿩의다리 햇빛이 잘 들어 그런가 오히려 고도가 높은 고대정 주변의 털중나리는 드문드문 피었다. 고대정 정자에 마음씨 좋은 산객이 있어 전부 당근을 우물거린다. 큰뱀무 산골무꽃 정상으로 진행한다. 미역줄나무 고대산 정상 점심 장소로 이동 오늘 점심은 하산해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dXW1/btq7Z1Mkr6P/VdFGFmgE0SFDTohTj4ZLck/img.jpg)
2019. 09. 21. 토요일 지명을 밝히면 안 되는 귀한 식물이 있어서가 아니라 들어가지 말라는 통제구역을 몰래 들어간 탓으로 지명이 ㅇㅇ산이 됐다. ㅇㅇ산전투위령비에서 출발한다. 개쑥부쟁이 투구꽃 진범 촛대승마 괴불나무 산층층이 과남풀 참당귀 새끼꿩의비름 주변 풍경 꽃향유. 산부추. 구절초 등이 꽃밭을 이뤘다. 바위떡풀 다람쥐꼬리 오이풀 오미자 까실쑥부쟁이 개미취 미역취 각시취 둥근이질풀 술패랭이 돌아 나오며 꽃향유. 구절초 등을 재차 살피고, ㅇㅇ산 꽃소풍을 마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pOdRo/btq7TKDPP40/H9wZmnRjDKaWkEzozhhkYk/img.jpg)
2021. 06. 22. 화요일 지난 주말 연천 꽃동무가 하늘나리 소식을 전해준다. 주말엔 일정이 있어 못 가고, 월요일은 소식을 전해준 양반이 시체놀이 취미생활(?)을 즐기는 줄 알기에 또 못 가고, 화요일 퇴근 시간에 맞춘다. 포천. 연천 길 사정이 좋아져 약속시간보다 일찍 도착, 주차장 주변을 살핀다. 닭의덩굴 6시 퇴근하는 실장님과 합류, 지난겨울 걸었던 연강길로 이동한다. 하늘나리 올해 연천양반 덕으로 귀한 하늘나리를 또 만난다. (중간의 멀쩡한 사진 두 장은 꽃동무 사진이다.) 2021. 06. 19. 2021. 06. 19. 공단풀 보았던 곳을 지나, 2020. 12. 13. 도깨비가지 사는 곳으로 이동한다. 2020. 12. 13. 이런 장소에 거처를 마련한 이의 능력이 부럽다. 일기예보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QVa/btq7U2p8D6x/gN788c3KWjM7bUXMNlZwaK/img.jpg)
2021. 06. 19. 토요일 작년 가을 화악산 금강초롱 꽃소풍 시 부산 동호인분들을 만났다. 주걱끈끈이주걱(그때는 좀끈끈이주걱)이 궁금한 진선생님이 부산 동호인분에게 끈끈이주걱이 피거들랑 연락 주십사 부탁했었다. 시간이 흘러 끈끈이주걱이 피고 300팀 소집이다. 끈끈이주걱부터 만난다. 닭의난초 인디카 고참분들이 먼저 와 있다, 우리가 도착하니 자리를 비켜준다. 가끔 좋은 모델을 예술하는 분이 자리 선점하면 카메라에 담아보지도 못하는 경우가 있어, 선뜻 자리 내어주는 분들을 만나면 고맙다는 인사가 절로 나온다. 주걱끈끈이주걱 끈끈이주걱 닭의난초 원추리 끈끈이주걱 오후에 시간이 남아 선제비꽃 자생지에 들린다. 랜드마크 역할을 했던 정자 자리에 멀쩡한 건물이 들어서 들머리 찾는데 애를 먹었다. 애기메꽃 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FwkEt/btq7lQ4uOFa/MGMPNnjNh8h3v5xeEa1yp1/img.jpg)
2021. 06. 13. 일요일 밥상에 간이의자까지 챙겨 우아(?)한 점심을 하고 오후 일정을 시작한다. 나비나물 태안원추리 꽃동무에게 차이점을 물으니, 꽃자루 분지가 얕다고 한다. 잎도 좁다고 하는데 카메라에 담지 못했다. 갯까치수염 쥐꼬리풀 타래난초 산제비란 큰까치수염 인동덩굴 방울새란 나는 곳으로 이동한다. 달랑 한 포기 찾았다. 산제비란 꿀풀 가지가 갈라졌다. 대극 피막이풀 좁은잎사위질빵 자생지로 이동한다. 사포나리아 꽃동무에게 이름을 처음 배운다. 좁은잎사위질빵 외대으아리 털중나리 엉겅퀴 굴피나무 지치 털중나리 땅비싸리 새머루 해안 바위의 좁은잎사위질빵을 찾아 이동한다. 좁은잎사위질빵은 이미 졌고 그냥 으아리만 풍성하다. 돌아오는 길, 밭 둔덕의 조뱅이까지 담고 서해 꽃소풍을 마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zIcYY/btq7iQXNckc/X3DWgbeK9RElONkYcj3iHK/img.jpg)
2021. 06. 13. 일요일 올해 이미 신안의 노루발 군락을 보았다. 그럼에도 안면도 매화노루발이 몇 년 만에 풍성하게 피었단 소식에 재차 노루발 꽃소풍에 나선다. 일단 처음 만나는 매화노루발 앞에 인사삼아 엎드린다. 초입의 매화노루발은 예전과 비슷한 모습이다. 노루발 숲 안으로 들어갈수록 점점 많아진다. 꽃멀미를 진정시키느라 잠깐 쉬어간다. 이미 충분히 보았지만 괜히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카메라를 들이대 본다. 같은 노루발을 동서남북, 한 바퀴 돈다. 꽃사진에 열심인 꽃동무를 기다리다가 곤태증이 났는지... 점점, 느자구 읎는 자세다. 갯완두 이삭 줍기를 하며 솔밭을 빠져나온다. 오전 꽃소풍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