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ASN7b/btq3KQNGvvB/PkTChHEUdSXmjG34hiZYg0/img.jpg)
2021. 04. 25. 일요일 연천양반들과 이번 주 찾은 곳은 강원도 태백이다. 본래는 홍천 한계령풀을 계획하였다가 사정이 생겨 장소를 변경한다. 첫 번째 주제식물은 조름나물이다. 작년엔 연못 가운데 이끼가 적어 올해보단 깨끗했다. 2020. 05. 01. 늘 그렇듯 이렇게 저렇게 담아본다. 승질 급한 사람 먼저 자리를 뜨고 한 분은 남아 있는 모습이 연천양반들 전형적인 그림이다. 줄딸기 유럽나도냉이 마당 가득 서양민들레와 주변 풍경이 그림을 만든다. 실장님, 복사나무에 배꼽인사(?)하고 조름나물과 작별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G1LE4/btq3KQNeC4M/oCRSOA1WPBPHHYXb3KUzOk/img.jpg)
2021. 04. 24. 토요일 교장선생님과 수원산 앵초를 찾기로 했다. 너무 이른 아침은 피하자고 하셔 아침시간에 아파트 화단을 둘러본다. 반하 자주괴불주머니 요 며칠 아침마다 들렀던 자주괴불주머니도 또 둘러본다. 봄맞이 수원산 가는 길 도중, 커피 사려고 들린 편의점 주변에 재쑥이 한가득이다. 나비야님과 진선생님은 사정이 있어 못 가시고 교장선생님 내외분과 함께한다. 조팝나무 딱총나무 털족도리풀 애기나리 홀아비꽃대 앵초 밭에 도착, 여기저기 흩어져 자리한 앵초를 찾아다니며 담는다. 올해도 흰앵초가 섞여 피었다. 임도에 내려설 때까지 몇 장 더 담는다. 털족도리풀 각시붓꽃 둥굴레 고추나무 붉은병꽃나무 산괴불주머니 벌씀바귀 미나리냉이 양지꽃 피나물 앵초 꽃소풍을 마치고 돌아 나간다. 우산나물 홀아비꽃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tNnU/btq3IylY3os/DDc3K36eKLO54QEr2Jgyr1/img.jpg)
2021. 04. 22. 목요일 직장에서 소방용품 몇 가지 구매해야 한다. 소방용품 가게가 의정부에 있어 출근길에 들릴 생각이다. 가게가 문 여는 오전 9시까지 기다리는 동안 아파트 화단을 둘러본다. 자주괴불주머니 콩제비꽃 반하가 올해는 꽃을 피웠다. 2020. 04. 26. 갈퀴덩굴 꽃마리 꽃받이 괭이밥 살갈퀴 소리쟁이 작년 봄망초로 보였었는데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 2020. 04. 26. 흰젖제비꽃 종지나물 봄맞이 자주괴불주머니 2019. 04. 19. 자주괴불주머니. 반하 등 화단 야생화 세력이 이 만큼인 것만 해도 다행이다. 아파트 경비근무자가 얼마나 열심인지 아예 목욕 의자까지 준비해서 보도블록 사이의 개미자리까지 정리한다. 얼추 소방 가게 문 열 시간에 맞춰 꽃소풍을 끝낸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eq9Xz/btq3ARFvAr1/6rxF6Yq42FktEPhyPHejW1/img.jpg)
2021. 04. 20. 화요일 귀락마을 흰각시붓꽃 본다고 시간을 냈다. 반차 휴가를 내 흰각시붓꽃만 보기에는 시간이 남는다. 남는 시간 광덕산 꽃소풍으로 채운다. 노랑미치광이풀 광덕미치광이풀라 불리기도 하는 중간종이 올해는 거의 노랑미치광이와 같은 색으로 피었다. 미치광이풀 박새 능선을 꽉 채웠던 얼레지가 듬성듬성이다. 나물객 탓인 것 같아 원망의 말을 중얼거리게 된다. 큰괭이밥 중의무릇 뒤늦게 도착한 연천 꽃동무들과 합류, 재차 노랑미치광이풀을 찾는다. 무늬족도리풀 연천양반들이 새로 발견한 노랑미치광풀을 보여준다. 미치광이풀 얼레지 쌈 싸 먹는 모습인데, 동족을 욱여넣는 듯 보여 섬짓. 괴기스럽다. 민둥뫼제비꽃 고깔제비꽃 교장선생님이 알려준 장소의 금강제비꽃까지 찾고 광덕산 꽃소풍을 마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hlMM/btq3cata2P2/D3klmW16y0SOt3ePxkBpU1/img.jpg)
2021. 04. 18. - 20. 작년 귀락마을 꽃밭에 흰각시붓꽃 한 포기가 올라왔다. 2020. 04. 22. 2020. 04. 28. 당연히 올해도 찾아보았지만 다른 각시붓꽃 다 피어도 흰각시붓꽃은 보이질 않아 누군가의 손을 탓든지 아니면 자연히 사라진 것으로 짐작했다. 여느 날처럼 아파트 화단의 자주괴불주머니와 인사하고 출근한다. 2021. 04. 18. 출근길 진선생님 전화다. "귀락마을 흰각시붓꽃 봤어?" -"못 봤는데요." "야생화 이야기반 정선생이 찾았다니, 퇴근길 보구가." 며칠 전까지 안 보이던 흰각시붓꽃이 그 자리에 그림같이 피어있다. 2021. 04. 18. 퇴근길 각시붓꽃 애기풀 해가 조금 더 내려오길 기다려 흰각시붓꽃을 다시 담는다. 교장선생님도 연락받고 사모님과 같이 오셨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UUrC/btq27TRvJiZ/mWI8snksrZFpDFBKBiJRh0/img.jpg)
2021. 04. 18. 일요일 수뇌부 회의 결과, 녹화 금오족도리풀은 패스하고 붉은조개나물 나는 곳으로 이동한다. 붉은조개나물 만나기 앞서 점심시간을 갖는다. 흔히 하는 말로 '차려놓은 밥상에 숟갈만 얹는다' 하는데 그 숟갈마저 빌리는 점심이다. 눈치 없고, 염치없는 속은 탈도 안 난다. 하여간 불편한(?) 점심을 마치고 오후 꽃소풍을 시작한다. 으름덩굴 조개나물과 붉은조개나물 흰들제비꽃 광대나물 큰구슬붕이 넓은잎각시붓꽃 네 번째 꽃소풍 주제인 자주족도리풀 나는 곳으로 이동한다.